본문 바로가기

728x90
반응형

전체 글

(187)
[Linux] 우분투에 쿠다(CUDA) 설치하는 방법: ubuntu 20.04 먼저 아래 링크를 통해 본인의 환경을 비교해보시면 cuda 를 지원하는 환경인지 알 수 있습니다. https://docs.nvidia.com/cuda/cuda-installation-guide-linux/ CUDA Installation Guide for LinuxThe installation instructions for the CUDA Toolkit on Linux. 13. Post-installation Actions The post-installation actions must be manually performed. These actions are split into mandatory, recommended, and optional sections. 13.1. Mandatory Ac..
[Vscode] Running cells with '/bin/python3' requires the ipykernel package 파이썬 공부를 하시는 분들 중에 완전 초보분들은 잘 모르실 것 같아서 올립니다. VSCODE 에서 jupyter notebook 을 사용하여 파이썬을 실행시킨다면 처음에 같은 에러가 발생할 겁니다. 주의할 점은 운영체제 환경은 Ubunu 20.04 라는 점입니다~! Running cells with '/bin/python3' requires the ipykernel package. Run the following command to install 'ipykernel' into the Python environment. Command: '/bin/python3 -m pip install ipykernel -U --user --force-reinstall' 이 문제가 발생했는데 해결 못하시고 계시면 pip ..
[Linux] Ubuntu 20.04 그래픽 드라이버 설치: 1024x768 해상도 문제 문제 발생: 평소에 잘 되다가 갑자기 문제 발생. 해상도 1024 x 768 에서 조절할 수 없음 그래픽 드라이버도 설치 되어있었는데 갑자기 이런거 보니 그래픽 드라이버에 뭔가 문제가 있나봄     상황: 기존에 ubuntu 에서 제공하는 독점 드라이버를 사용하였었음. 그러나 이것으로 하니 확실하게 오류없이 설치가 안되는 느낌이었음. 따라서 제대로된 드라이버를 설치하고자 함.      문제 해결: nvidia-smi 이거 쳤을 때 제대로 안나오시는 분들이 저와 같은 경험을 겪을 거라고 생각합니다. 만약 그래픽 드라이버가 기존에 설치되어있으신 분들은 아래 명령어로 삭제하세요. sudo apt-get purge nvidia*sudo rm /etc/..
[Github] clone 에러 발생: ERROR: Repository not found 새로운 repository 를 만들었는데 SSH 키도 있고 한데 에러가 발생했음.. repository가 존재하지 않다고.. 분명 저장소 존재하고, SSH 키도 있고 등록도 해놨는데 왜 ? 저는 아래와 같은 에러 메세지를 받았습니다. Cloning into 'New-repository'... ERROR: Repository not found. fatal: Could not read from remote repository. Please make sure you have the correct access rights and the repository exists. 해결책: 찾아보니까 여러개의 공개키가 존재하는 경우 SSH 키를 제대로 인식을 못했을 수도 있다고 합니다. 저는 window 운영체제에서 git..
[Github] 모든 Commit 내용 다른 repository로 옮기기: history 복제 연구실에서 했던 개발 과정을 제 repository 로 옮기고 싶었습니다. 그러나 Github 에서 UI로 제공하는 Download Zip은 다운받는 데도 시간이 너무 오래걸리며 history가 모두 다운로드 되는 지 불분명했습니다. 따라서 이 글에서는 개발 단계에서 했던 모든 history를 다른 repository로 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드릴게요. 기본적으로 저는 SSH 공개키를 이용하여 복제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. OVERVIEW # 임의의 폴더 생성 mkdir tem_file # 폴더로 이동 cd tem_file # 복제하고 싶은 History 불러오기 git clone --bare https://github.com/example/repo.git # .git 폴더로 이동 cd repo.git ..

728x90
반응형